반응형

전체 자릿수와 소수 자릿수를 고정시켜 표현하는 데이터 형식이며 둘은 차이가 없어 서로 대체해 사용 가능합니다.

이후 내용은 decimal 로만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.


▶ Arguments

decimal(전체 자릿수, 소스점 자릿수) 


위와 같이 표현하며 전체자릿수를 기준으로 저장소 크기가 결졍됩니다.

전체 자릿수저장소 크기(바이트)
1 - 95
10-199
20-2813
29-3817

소수점을 표현할 수는 있지만 float 형식과 변환을 해야할때는 자릿수에 따라 일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, int, long 에서 변환할 경우에도 overflow 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Server Code 에서 데이터를 넘긴다면 C# 에서 제공하는 decimal 타입을 이용하여 선언한 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
(손실이나 overflow 가 발생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아 디버깅이 어려우니 애초에 Decimal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)


▶ 상세내용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sql/t-sql/data-types/decimal-and-numeric-transact-sql


반응형

+ Recent posts